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ctive
- protocol
- lsa type7
- 서버
- OSPF
- LSDB
- master
- confederation
- lsa type3
- linux
- bgp 속성
- 리눅스
- vrrp
- MLAG
- IBGP
- ARP
- baud rate
- lacp
- EBGP
- lsa type5
- ARISTA
- nssa
- BGP
- bit rate
- DHCP
- Chassis
- split horizon
- 네트워크
- network
- MTU
- Today
- Total
목록MTU (2)
높고 넓은 파도
단편화(Fragmentation) : 프로토콜 기본 교환 단위인 PDU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누는 동작 기억장치의 낭비 축소 : 데이터가 나누어진 패킷의 크기는 지연을 줄이기 위해 통상 짧은 패킷이 바람직. 패킷의 길이가 길어지면 각 노드의 기억장치(버퍼)의 낭비 발생 가능. 네트워크 종류마다 다름: 패킷이 멀리 이동할 때 만나는 많은 네트워크 종류별로, 다양한 패킷 크기 제약에 적응하기 위함(MTU) 공유 통신 자원에 대한 동등한 접근권 보장 2계층(데이터링크계층) : 단편화가 다소 드물에 일어남 3계층(네트워크 계층 또는 IP계층) : 단편화가 많이 이루어짐 -> 거치는 각 라우터마다 적합한 데이터링크 계층 프레임으로 변환이 필요함 ; IPv4에서는 발신지 뿐만 아니라 중간 라우터에서도 IP단편화가 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값은 1500바이트 IEEE 802.3 표준에 의해 설정된 제한 실제 전송시에는 여기에 프레임 헤더를 붙이면 18바이트가 추가되어 기본적으로 1518바이트가 됨. 점보프레임은 9000바이트까지 MTU를 확장시켜줌. 프레임 사이즈가 커지면 시스템에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처리 CPU가 더 줄어듦 9000바이트 이상으로 커진다면 데이터를 자르는 기준이 적어지므로 더욱 빠른 속도로 전달할 수 있게 됨 mtu는 들어오는 것은 상관없음, 나가는 것이 중요 vxlan 설정시 mtu 값을 늘려줄 필요가 있음 vxlan encapsulation overhead 50byte 설정 방법 인터페이스에 mtu 9000 설정 SVI에 mtu 9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