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BGP
- OSPF
- nssa
- lsa type3
- lacp
- 서버
- vrrp
- network
- confederation
- bgp 속성
- master
- protocol
- active
- bit rate
- ARP
- linux
- EBGP
- BGP
- MLAG
- DHCP
- Chassis
- 네트워크
- ARISTA
- lsa type5
- split horizon
- baud rate
- MTU
- 리눅스
- LSDB
- lsa type7
- Today
- Total
목록Chassis (2)
높고 넓은 파도

Redundancy : Supervisor 이중화 구성 모드(Chassis 장비만 대상) RPR Mode ▶ 이중화는 됨 | 단점이 하나가 죽으면 하나가 사는건 같지만 active standby mode 싱크가 안됨 → active가 죽으면 라인카드가 다 같이 죽었다가 재부팅이 되면서 standby가 active로 올라옴. 그리고 라인카드가 데이터 정보를 다시 수집. 라인카드 재부팅이 되면 트래픽이 다 끊어지고 최소 3-4분 걸림. SSO(Stateful Switchover) Mode ▶ 평소에 active와 standby 데이터베이스가 싱크를 맺고 있음. active가 죽으면 모듈이 살아있어서 즉시 standby로 넘어가서 트래픽이 안 죽음.

RIB (Routing Information Base) : OSPF/RIP/Static등 inter-domain 프로토콜을 통해 알아낸 모든 정보 : 라우팅 정보 베이스는 라우터가 알고 있는 모든 경로를 포함하여 각 경로와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저장하는 라우터의 내부 데이터 구조 ▶ RIB TABLE은 제어부 SUP이 가지고 있음. ▶ 박스 장비는 RIB와 FIB가 분리가 안됨 ▶ 샷시 장비는 라인카드에서 포워딩 테이블을 별도로 갖고 있음 #sh ip route [라우팅 테이블 : 라우팅 테이블은 RIB에 있는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 RIB의 운영 결과물로서 라우터가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데 사용하는 활성 경로를 나타냄. 라우팅 테이블은 RIB에서 선호도, 측정값 또는 비용에 따라 선택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