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Network
[Network] TTL(Time to Live) 이란?
김파도_
2024. 3. 9. 18:30
반응형
TTL(Time to Live)
: 데이터의 유효기간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 계수기나 타임스탬프의 형태로 데이터에 포함되며, 정해진 유효기간이 지나면 데이터는 폐기됨.
네트워크에서 TTL은 패킷이 무한 순환 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
L2 | L2에서는 TTL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음 → 무한히 돈다 : 라인카드 뽑기 or Shutdown → Broadcast Storm BUM Traffic 발생 시 L2는 TTL이 없어서 무한히 돌게 됨. |
L3 | TTL 1 hop을 거쳐갈 때마다 lifecycle이 존재 TTL Max : 255 hop |
728x90